목록w e b & s e r v e r (10)
h e 1 1 o !
https://dev-coco.tistory.com/61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 (+캐시(Cache))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 1.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 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dev-coco.tistory.com 이 분 블로그가 잘정리 되어 있다.

📂 HTTP의 특징 📎 HTTP의 역사 HTTP/1.1, 2는 TCP 기반, HTTP/3은 UDP 기반이다. 📎 HTTP 특징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 응답 ✔️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음 장점: 서버 확장성이 높음(스케일 아웃 -> 무한한 서버 증설 가능) 단점: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 상태 유지 프로토콜의 경우 요청을 기억하고 있는 서버에서만 응답을 받아야 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 서버가 정해져 있다. 이런 경우, 그 서버에 문제가 생긴다면 유지하던 상태 정보가 다 사라져 버리므로, 처음부터 다시 서버에 요청해야 한다. 클라이언트 요청이 증가해도 한 서버에..

📂 OSI 7 계층 모델 ISO라고 하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표준 규격이다. OSI 7계층 모델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이를 7개의 계층(레이어)으로 구분하였다. 📎 OSI 각 계층의 역할 1계층 - 물리 계층: OSI 모델의 맨 밑에 있는 계층으로서,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하는 계층입니다. 주로 물리적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정의합니다. 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고, 들어온 전기 신호를 그대로 잘 전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e.g.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로 신호 변경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주소(e.g. MAC 주소)를 결정하는 계층입니다. 물리 계층에서 들어온 전기 신호를 모아 알아 볼..

* TCP/IP 4 계층은 OSI 7 계층보다 먼저 개발되었으며 TCP/IP 프로토콜의 계층은 OSI 모델의 계층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실제 네트워크 표준은 업계표준을 따르는 TCP/IP 4 계층에 가깝습니다. 📂 네트워크의 시작 IP 기반의 네트워크는 냉전시대에서 핵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을 위해 추진되었던 진행했던 아르파넷(ARPANET) 프로젝트(1969년)에서 시작되었다. 기존에 사용되었던 회선교환 방식이 아닌 패킷교환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는데 이를 토대로 현재의 인터넷 통신 방식의 기반이 세워졌다. 회선교환 방식은 특정 회선의 할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즉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 IP / IP 패킷 📎 패킷교환 방식 소포를 보내듯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가..
📂 웹 접근성의 개념 일반적으로 웹 접근성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비장애인도 정보 접근에 제한을 받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웹 접근성을 갖추면 웹에 접근했을 때 그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동등한 수준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보장받을 수 있다. 결국 웹 접근성의 궁극적인 목적은 어떤 상황이든, 어떤 사람이든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하는 것. 국내에서는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고,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가능하다면 정보의 평등, 그 외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을 생각하여 웹 접근성을 갖추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 웹 접근성을 갖추면 얻을 수 있는 효과 사용자 층 확..

📂 SEO 개념 📎 SEO란?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 상위에 없거나 뒤 페이지로 밀려난다면 아무도 찾지 않는 웹 페이지가 되어버린다.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검색 엔진의 작동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최적화해주는 작업,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가 필요하다. SEO를 통해 검색 엔진에서 웹 페이지를 보다 더 상위에 노출될 수 있게끔 만들 수 있다. 📎 SEO의 종류 On-Page SEO : 말 그대로 페이지 내부에서 진행할 수 있는 SEO로, 제목과 콘텐츠, 핵심 키워드의 배치, 효율적인 HTML 요소 사용법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우리는 이 On-Page-SEO에 대해 배운다. Off-Page SEO : 웹 사이트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SEO로,..
📂 주의해야할 마크업 📎 블록 요소 안에 인라인 요소 넣기 인라인 요소는 콘텐츠가 차지하는 만큼(span, a), 블록 요소를 가로로 넓게 화면 영역을 차지(div, h1)한다.인라인 요소는 항상 블록 요소 안에 들어가야 한다. 반대로는 안된다. ✔️ 블록 안에 인라인 h1의 자식 요소 📎 , 요소 사용하기 글씨를 두껍게 -- 대체하기 --> 콘텐츠 매우 강조하기 글씨 기울이기 -- 대체하기 --> 콘텐츠 강조하기 📎 마구잡이로 사용하지 않기 글자 스타일(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hgroup을 사용하면 안된다. 시맨틱 요소로서 역할을 인식하고, 목차의 역할 + 콘텐츠 상하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해야 한다. // 좋은 예시 제목 큰 목차 작은 목차 작은 목차 큰 목차 작은 목차 더 작은 목차 더 작은 목차..